Network

라우터와 라우팅 개념 정리_240906

도전을 기회로 삼아 성장하는 사람 2025. 2. 19. 13:49

라우터 개념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 패킷을 전달하는 장비로, 경로를 결정하고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네트워크의 갯수에 따라 라우팅 테이블이 결정되며, 데이터가 갔다가 되돌아오는 것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목적지 정보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다면, 패킷은 폐기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간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라우팅 설정이 필요합니다.

  • 네트워크의 개수 = 라우팅 테이블의 개수
  • 데이터가 갔다가 되돌아오는 것까지 고려해야 함
  • 목적지 정보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으면 패킷을 버림 -> 따라서 길(라우팅)을 만들어줘야 함

라우팅 방식

1. 정적 라우팅 (Static Routing)

  • 관리자가 수동으로 설정하는 경로
  • 장점: 빠른 라우팅 가능, 라우팅 테이블을 적게 사용
  • 단점: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자동으로 대체 경로를 찾지 못함
  • 설정 명령어:
  • (config)# ip route [네트워크 ID] [서브넷 마스크] [주소 또는 인터페이스] [거리]

2. 동적 라우팅 (Dynamic Routing)

  • 라우터끼리 정보를 교환하여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

라우팅 테이블 예제

 

R2 기준

C    192.168.12.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C    192.168.23.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S    192.168.23.0/24 [1/0] via 192.168.12.254
  • C (Connected):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 S (Static): 수동으로 설정된 경로
  • 우선순위: 숫자가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음
  • 구성 요소:
    • 갈 수 있는 곳
    • 연결 방법
    • 어떤 인터페이스로 나가는지

TTL (Time To Live)

  • 데이터가 살아있을 수 있는 시간
  • 목적지가 없는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계속 남아있는 것을 방지
  • 라우터를 1개 지날 때마다 TTL이 1씩 감소
  • 운영체제별 최대 TTL 값:
    • 네트워크 장비: 최대 255
    • Windows: 최대 128
    • Linux: 최대 64

Telnet 설정 방법

PC에서 라우터에 Telnet 접속을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

Router(config)# line vty 0 4
Router(config-line)# password aws
Router(config-line)# login